본문 바로가기
728x90

시사373

상호관세 놓고 韓美 5일부터 막판 협상 7월 5일부터 시작된 한·미 ‘상호관세’ 협상의 배경, 진행 상황, 쟁점 및 전망🧭 1. 협상 배경 및 맥락트럼프 대통령은 7월 9일이 유효 기간인 ‘90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선언함에 따라, 이후 한국을 포함한 국가들에 기본 10%, 최대 25%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imnews.imbc.com, barrons.com)한국도 대상이며, 자동차·철강·반도체 등 주력 수출 산업에 높은 타격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2. 협상 일정 및 주도 인물**7월 5일(현지 시각)**부터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워싱턴DC에 파견되었습니다 (m.yonhapnewstv.co.kr).주요 대화 대상은 USTR 대표 제이미슨 그리어 등으로, 비관세장벽 철폐,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 등에 대한 한국 측 .. 2025. 7. 5.
7월 대출 규제로 인한 전월세 시장 영향은? 고강도 부동산 대출 규제는 전월세 시장에도 직접적인 파급 효과를 주고 있습니다. 주택 매매시장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수요가 전세나 월세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임대료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1. 매매 수요 → 전월세로 이동6억 원 초과 주택 대출 규제, DSR 강화로 인해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실수요자들이 매매 대신 전월세로 눈을 돌리는 상황입니다.특히 무주택 실수요자, 신혼부부, 갈아타기 수요층이 일시적으로 전세 시장에 머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결과:→ 전세 수요 급증→ 공급이 한정적인 상황에서 전세가 상승 압력 발생📈 2. 월세 전환 가속화전세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집주인들이 전세를 기피하고 월세를 선호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음금리 상승기: 전세보증금 운용 수.. 2025. 7. 5.
고강도 부동산 대출 규제에 현장 혼란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대한 ‘주담대 6억 원 한도 + DSR 3단계 규제’가 시행된 지 일주일 만에, 현장에서는 큰 혼란과 혼선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 계약 취소·자금 계획 차질서초 잠원·잠실 등 고가 아파트 단지에서는 **입주 직전 분양 계약 포기 사례(179건)**가 속출 중입니다 (donga.com).특히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금지되면서, 자금 조달 계획에 차질이 생긴 사례가 많습니다 (donga.com).중개업소는 “입주자들 문의 전화를 하루 종일 받는다”고 호소할 정도입니다 (donga.com).💸 2. DSR 강화+주담대 한도 축소, 금융권도 혼란은행권은 정부 지침을 받고는 있지만 구체적인 현장 실행 매뉴얼이 부족해 “혼선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news.nate... 2025. 7. 5.
트럼프 감세 법안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트럼프 감세법안(‘Big Beautiful Bill’)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직접적인 정책 연계보다는 글로벌 금융시장 및 환율·수출입 흐름을 통한 간접적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1. 미국발 재정 불안 → 글로벌 시장 불안트럼프 법안은 10년간 3~4조 달러의 적자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며, 이는 미국 국채 발행 증가 → 금리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는 전 세계 자산시장의 변동성 확대와 함께, 신흥국 자본 유출 위험 증가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한국 영향: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 확대한국 채권시장 및 주식시장 변동성 증가안전자산 선호 심화 시 원화 약세 압력💱 2. 달러 강세 → 수출 유리 / 수입 부담감세로 인해 미국 내 소비·투자 증가 기대 → 달러 수요 증가미국 금리.. 2025. 7. 2.
트럼프 감세 법안 대한 우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규모 **감세 + 지출 법안(‘One Big Beautiful Bill’)**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상원이 지난 7월 1일 가결했고, 하원으로 넘어가 최종 표결을 앞둔 이 법안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재정적자 급증 우려의회 예산처(CBO)는 10년간 3.3 조 달러의 추가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며 (newdaily.co.kr, v.daum.net),일부 분석은 4조 달러 이상 적자 가능성도 제기되어 ,이는 향후 국채 발행 확대, 금리 상승, 미국 신용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 2. 사회복지·의료 급감 vs. 고소득층 혜택악화하는 재정을 우회로 메우기 위해 메디케이드 감축, 푸드 스탬프(SNAP) 지원 축소 .. 2025. 7. 2.
한국 가공식품 물가 상승 주요 원인은? 6월 기준 가공식품 물가가 전년 대비 4.6% 상승, 1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자재 및 수입 원가 상승곡물, 설탕, 유지 등 국제 식재료 가격 상승우크라이나 전쟁, 기후 이상, 주요 생산국 수출 제한 등으로 인해 밀·옥수수·설탕 등의 국제 가격이 상승함.특히 제빵·라면·음료에 쓰이는 밀·설탕·식물성 유지(팜유 등) 가격이 2024년 하반기부터 다시 오름세.수입 비중 높은 원재료 사용 구조한국 가공식품은 밀가루, 설탕, 카카오, 커피, 유지류 등의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아 환율·국제가격에 민감함.⛽ 2. 물류비·에너지 비용 상승유류비 상승국제유가 반등 → 운송비와 제조 공정 에너지 비용 증가 → 제품 가격 전가중동 리스크(2025년 상반기 이란-이스.. 2025. 7.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