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스테이블 코인 규제 현황

by 겜하는파프씨 2025. 6. 11.
728x90


스테이블 코인 규제는 글로벌 금융안정성과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각국이 주목하고 있는 핵심 이슈입니다.

특히 테라USD 붕괴(2022년) 이후,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 구조, 준비금, 시장 위험에 대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어요.


✅ 왜 규제가 필요한가?

  1. 금융 시스템 리스크
    → 발행사 부도, 디페깅(peg 해제) 시 시장 혼란 가능성
  2. 소비자 보호 필요
    → 투명한 준비금, 환매 보장 등 미흡
  3. 자금세탁 및 불법 자금 우려
    → AML/KYC 미적용 시 불법 송금 통로 우려
  4. 통화정책 영향
    → 민간이 통화공급 기능을 대체할 경우, 중앙은행의 정책력 약화

🌍 주요 국가별 규제 현황

🇺🇸 미국

  • Stablecoin Regulation Act 초안 논의 중
    • 준비금 100% 보유 의무
    • 발행사는 은행 또는 연방기관 등록 의무
  • SEC(증권거래위원회) &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 간 관할 분쟁 지속
  • NYDFS(뉴욕금융서비스국): 스테이블 코인 발행자에 대한 실시간 준비금 공개 요구

최근 Circle(USDC 발행사), Paxos 등은 규제 수용을 전제로 한 합법 운영을 추구 중


🇪🇺 유럽

  • MiCA(Markets in Crypto-Assets) 규제 (2024년 6월 전면 시행)
    • **자산연동형 토큰(스테이블 코인 포함)**을 별도로 분류
    • 발행자는 EU 당국의 인가 및 감독 대상
    • 유럽 내 결제 기능 제공 제한 (1일 100만 건 이상 금지 등)
    • 준비금, 회계 기준, 백서 공개 등 엄격한 요건 요구

🇰🇷 한국

  •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스테이블 코인 관련 내용 일부 포함 검토 중
  • 한국은행금융위가 공조해 스테이블 코인 자금흐름 추적 및 리스크 평가 중
  • 테라 사태 이후 "디지털자산 기본법" 추진 논의 활발

🇸🇬 싱가포르

  • MAS(통화청): 스테이블 코인 규제 프레임워크 발표 (2023)
    • 달러 등 법정화폐 연동 코인만 허용
    • 가치 안정성 유지 실패 시, 발행 자격 박탈

🇯🇵 일본

  • 2023년 스테이블 코인 법률 개정 시행
    • 스테이블 코인 발행은 은행, 신탁회사 등 규제기관 등록 기관만 가능
    • 투자자 보호 조항 명확화

🔍 공통 규제 포인트 요약

항목 규제 방향

발행 자격 은행, 금융기관 또는 등록된 발행사로 제한
준비금 요건 100% 현금 또는 현금성 자산 보유 의무
감독 및 공시 정기 보고, 실시간 투명성 요구
환매 보장 1:1 교환 가능성 법적 보장
자금세탁 방지 KYC/AML 의무화

✨ 결론 요약

스테이블 코인 규제는 "디지털 달러"를 금융 시스템 내에 안전하게 통합하기 위한 장치로, 각국은 "통제 가능한 혁신"을 목표로 규제에 나서고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표준화(예: IMF, BIS 등 논의)가 진행되면, 국제 결제 및 통화경쟁 질서에도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어요.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