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고령자 매도 증가, 청년층 영향은?

겜하는파프씨 2025. 6. 19. 01:10
728x90

고령층의 장기 보유 아파트 매도 증가가 청년층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 매도 증가 → 공급은 늘지만 구조적 불균형 지속

  • 55~64세 고령층의 아파트 매도 행태는 은퇴 이후 리스크 회피와 현금 확보 목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journal.kaopg.or.kr),
  • 그러나 이들이 내놓는 주택은 대부분 중대형 기준, 반면 청년층은 작은 평형, 저렴한 임대 수요층입니다 .
  • 결과적으로 공급량이 늘어도 청년들이 원하는 주택 형태와 일치하지 않아 실질적 해결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2. 💰 청년층 주거비 부담 증가

  • 청년층(30대 미만)의 자가율은 낮으며 월세 비중이 약 79%, 고령층 임차인도 월세 부담이 매우 높은 실정입니다 (ejhuf.org).
  • 고령자 매도 확대에도 불구하고 임대시장 전환이 원활치 않아, 월세 수요층(청년+고령)은 여전히 월 소득의 30–40%를 주거비로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 이어집니다 (ejhuf.org).

3. 📉 청년층 자가 매수 감소

  • 고령층의 매도에 국한된 주택 공급은 청년층에게는 접근 가능한 매물이 충분하지 않아 자가 매수 실현이 어려운 구조가 지속됩니다 (econbiz.de).
  • 이로 인해 청년층은 전세 위주 거주, 결혼 지연, 자가 포기 등의 경향이 강화되고 있으며 , 자산 형성 자체에 필요한 동력까지 약화되고 있습니다.

🔍 요약 표

요인 영향

고령층 장기 보유 주택 매도 공급량 증가하지만 형태 불일치
청년층 주거비 부담 임대료·월세 부담 지속
주택 접근성 자가 매수 어려움 → 사회적·경제적 부담 확대

✅ 결론

고령층 매도 물량은 늘어나지만, 청년층의 실제 수요(소형·중저가 주택)와 맞지 않아 ‘주거 불안’은 여전합니다.

따라서 임대주택 확대, 소형 주택 공급 확대, 공공·청년 수요 맞춤형 정책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함께 필요합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