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겜하는파프씨 2025. 5. 26. 02:56
728x90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가격 변동성이 적도록 설계된 암호화폐(가상화폐)**입니다. 일반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는 가격이 크게 오르내리는 반면, 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안정적이라서 실생활 결제나 자산 보관, 송금 등에 더 적합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주요 특징

1. 가격 안정성

  • 달러, 유로, 원화 같은 법정화폐(피아트 화폐)나 금, 다른 자산에 가치를 연동(페깅) 시켜 가격 변동을 최소화
  • 예: 1 스테이블코인 = 1 미국 달러(USD)

2. 블록체인 기반

  • 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같은 블록체인 위에서 발행되고 거래됨
  • 탈중앙화·투명한 거래 가능

3. 빠르고 저렴한 송금

  • 은행을 거치지 않고 전 세계 어디서든 실시간 송금 가능
  • 수수료가 은행 송금 대비 저렴

✅ 스테이블코인 종류

1. 법정화폐 담보형

  • 실제 달러, 유로, 원화 등 법정화폐를 담보로 보유해 1:1 가치 보장
  • 대표적 예: 테더(USDT), USD코인(USDC), 바이낸스 USD(BUSD)

2. 암호화폐 담보형

  •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잡고, 스마트 계약으로 발행
  • 담보가치가 변할 수 있으므로 과잉 담보화(overcollateralization)를 통해 안정성 확보
  • 대표적 예: 다이(DAI)

3. 무담보 알고리즘형

  • 담보 없이 알고리즘과 스마트 계약으로 수요·공급을 조절해 가격 안정 유지
  • 가격 안정성에 도전과제 존재

✅ 스테이블코인의 활용

  • 결제 수단: 가격 안정성 덕분에 상점, 서비스 결제에 적합
  • 송금 및 해외 송금: 중간 환전 없이 빠른 송금 가능
  •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대출, 예치, 스왑 등 금융 서비스에서 기본 화폐 역할
  • 자산 보호: 변동성 큰 암호화폐 투자 시 가격 하락 리스크 헤지 수단

✅ 주의사항

  • 담보 자산의 투명성과 안전성 중요
  • 일부 스테이블코인은 담보 부족·규제 리스크 문제 지적
  • 알고리즘형은 가격 안정 실패 위험 존재

 

1. 스테이블코인 시장 현황

  • 시장 규모
    2025년 현재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가총액은 수천억 달러에 달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성장 배경
    암호화폐 가격 변동성이 크다 보니 안정적 가치 저장 수단과 실사용 목적(결제, 송금, 디파이)을 위해 수요 급증.
  • 규제 움직임
    각국 금융당국이 스테이블코인의 투명성, 담보 보유, 소비자 보호를 위해 규제 강화 추진 중입니다.
  • 디파이(탈중앙금융)와 연계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에서 ‘기축통화’ 역할을 하며, 디파이 성장과 함께 사용량 급증.

2. 주요 스테이블코인 비교

코인명 종류 담보자산 장점 단점 대표 발행사

테더 (USDT) 법정화폐 담보 미국 달러 (부분적) 가장 시가총액 크고 거래량 많음 담보 투명성 논란, 규제 위험 Tether Limited
USD코인 (USDC) 법정화폐 담보 미국 달러 1:1 완전보유 투명성 높고 미국 규제 준수 거래 수수료 약간 있음 Circle, Coinbase
바이낸스 USD (BUSD) 법정화폐 담보 미국 달러 바이낸스 거래소 지원, 안정성 중앙화 위험 바이낸스
다이 (DAI) 암호화폐 담보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완전 탈중앙화, 스마트 계약 기반 가격 안정성 유지 어려움 메이커다오 (MakerDAO)
테라USD (UST)* 알고리즘형 무담보 빠른 발행 및 거래 2022년 붕괴 이후 신뢰 하락 Terraform Labs

*테라USD는 2022년 대규모 폭락 사고가 있었고, 이후 여러 변화가 있었으니 투자 주의 필요


3. 스테이블코인 투자 시 유의점

1. 담보 자산과 투명성 확인

  • 법정화폐 담보형은 실제 담보가 안전하게 보관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감사 보고서가 공개되는지 확인해야 함.

2. 규제 변화에 민감

  • 각국 정부가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규제를 강화하면 거래 제한, 서비스 중단, 가격 변동 등이 발생할 수 있음.

3. 중앙화 vs 탈중앙화

  •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은 발행사 리스크가 존재.
  •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안정성이 더 불확실할 수 있음.

4. 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 주의

  • 담보 없이 알고리즘으로 가격 유지하는 방식은 실패 시 급락 위험이 큼.
  • 2022년 테라USD 붕괴 사례 참고.

5. 시장 변동성 및 유동성

  • 극심한 암호화폐 시장 변동 시 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잠시 불안정해질 수 있으니 투자 전 고려 필요.

6. 투자 목적 분명히 하기

  • 단기 투기보다는 ‘가치 안정, 결제, 송금, 디파이 활용’ 목적으로 활용하는 게 안전.

 

300x250